본문 바로가기
칼럼

인플레이션 중고거래 식품 영화산업 주택을 통하여 알아본 2022 트렌드 전망

by 1.01Grow 2022. 3. 1.
728x90
반응형

인플레이션과 소비와 투자의 경계 재조명

 

코로나로 인해 많은 것이 변해버린 2022년 트렌드를 좌우할 요소들을 알아본다

 

첫 번째 요소 - 인플레이션과 소비와 투자의 경계 재조명

 

Photo by Ibrahim Boran on Unsplash

 

인플레이션이란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을 의미한다.

인플레이션이 생긴 이유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생산, 유통이 어려워져 원자재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

 

또한 최근 현금의 가치 하락으로 인해 소비 습관도 바뀌어, 과거는 비효율적인 소비가 있었지만

현재는 가치있는 투자를 통하여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뿐만 아니라 중고거래의 활성화로 가치 있는 소비를 통해 사람들이 원하는

물건을 구입하고 그 물건을 다시 되파는 식의 재테크 방식이 성행하고 있으며

소비와 투자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것이 트랜드이다.

 

두 번째 요소 - 유럽 프리미엄 식품의 국산화와 OTT를 통한 극장문화의 변화

 

Photo by Alexander Shatov on Unsplash

 

현재 이상 기후로 농작물 피해가 많아지고 코로나로 인해 국가마다

무역이 어려워짐에 따라 유럽 프리미엄 식품의 국산화가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주산 하몽이나 국내에서 생산된 한국 맥주들로

굳이 외국에서 수입을 하지 않아도 국내에서 만들어 내고 있다는 것!!!

그리고 사람들이 자체 제작한 국내 상품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이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극장 문화 또한 많은 것이 바뀌었다.

코로나로 인하여 언택트 시대로 도입했고 이에 따라 OTT 서비스는 전성기를 맞고 있다.

때문에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사영하던 영화관은 OTT 서비스에 비하여 접근성과

차별력이 떨어졌다. 앞으로 전문가들은 영화관은 대형 작품 위주나 OTT 서비스를 뛰어넘을

프리미엄 서비스로 차별화하여 발전할 것으로 예상했다.

 

세 번째 요소 - 소유 대신 경험하는 방식의 주거형태 변화

 

Photo by Daniil Silantev on Unsplash

 

집을 왜 소유하고 싶은가??

장점으로는 안정성이 보장되고 가족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생겨났다는 점!!

단점으로는 한 곳에 머무르며 이동성이 보장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요즘 MZ세대들의 트렌드로는 결혼과 출산이 줄어들면서 사람들에게 주거의 안정성은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굳이 비싼 집값을 내면서 한 군데 정착해서 살 필요가

없어진다는 말이다.

전문가들은 주거 또한 경험의 일부로 3개월 / 6개월 단위로 주거를 체험하며 자유로운

주거형태로 변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다만, 대한민국은 부동산 불패가 21년까지 이어져왔기에

MZ세대들의 주택 구입이 쉽지 않은 상황도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인플레이션 중고거래 식품 영화산업 주택을 통하여 알아본 2022 트렌드 전망을 알아보았다

새롭게 변화되는 요소들과 비교하며, 우리의 삶을 계획해 보는 것은 어떨까?

728x90
반응형

댓글